분류 전체보기 33

NFPA CODE에 따른 유해위험성 구분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은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물질에 대한 위험성을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1. NFPA 472 물질구분 물질은 Class1~8까지 구분 1동급 -폭발성 물질 2등급-가스물질 3등급-인화성 액체(인화점 23도 미만) 4등급-인화성 고체 5등급-산화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6등급-독성물진 7등급-방사능 물질 8등급-부식성 물질 2. NFPA704 위험성 구분 위험성은 3가지이며, 0등급~4등급으로 평가한다. -화재(적색)위험성 -건강(청색)위험성 -반응(황색)위험성 -기타(백색)위험성:금수,방사능,산화 ※0등급이 가장 안전한 등급임. 3. NFPA30 인화성의 구분 인화성 및 가연성 물질 구분 -Class1A: ..

위험물 2024.06.09

연소의 종류

1. 연소의 4대 요소 가.충분한 산소의 공급 나.점화원 다.가연물 라.지속적으로 연소 가능한 연쇄반응 2. 연소의 종류 가.확산연소 -기체연소라고도 하며, 가스가 대기 중에 확산되어 산소와 혼합. 인화범위에서 점화원에 의한 연소형태 나.증발연소 -인화성 액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산소와 혼합.인화범위에서 점화원에 의한 연소형태 다.분해연소 -가연물이 분해되어 발생된 가스,증기가 연소 (나무,석탄) 라.표면연소 -가연성 고체가 표면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 (코크스,숯,금속) 마.자기연소 -산소를 포함하여 산소공급없이도 연소 (아조,디아조화합물 등)

위험물 2024.05.06

화학 플랜트의 근원적(본질적) 안전설계

화학공장에서는 위험물질의 대량 저장, 취급으로 인하여 매년 화재/폭발/누출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화학공장의 초기 설계 시 안전에 대한 본질적 사고예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본질적 안전설계의 방향첫번째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기본 설계 시 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반영한다. (안전설계 요소 참고)두번째는 인터록 시스템, 제어 시스템, 방호 시스템, 비상조치계획수립이라고 할 수 있다. 2. 화학 플랜트의 본질적 안전설계 요소가. 효율화(최소화) 설계- 취급하는 물질량 및 장치설비의 용량의 최소화나. 대체- 위험물질은 위험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다. 완화- 공정운전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운전의 방법을 안전한 방향으로 완화라. 영향의 축소- 사고가 발생에 대비하여 2차 사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완화..

공정안전관리 2024.05.05

FAIL SAFE, FOOL PROOF

1. FAIL SAFE 및 FOOL FROOP란?가. FAIL SAFE-설비의 안전 기능이 고장나더라도 재해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의 일환으로 Redundancy 즉, 이중화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설계나. Fail safe의 분류-Fail passive(자동감지)설비의 고장 시 정지되도록 설계-Fail active설비의 고장 시 설비는 알람을 울려 알리고 일정시간동안 운전된다.※보수하는 시간 확보-Fail operational설비 고장 시 운전에 문제가 없도록 병렬설치2.Fool proof-인간의 착오, 실수를 방지하기위한 기본안전설계-예로는 버튼 색상을 다르게 표기, 물질의 색상, 표지판 등이 있다.3. Redundancy 이중화 설계가.누출예방을 위한 이중배관, 이중 차단밸브나.유압,공기압..

산업안전공학 2024.05.05

안전운전계획

공정안전보고서의 한 구성 요소인 안전운전계획을 공유하고자 한다. 1. 공정안전보고서의 구성항목1) 공정안전자료2) 위험성평가(정량적 위험성평가 포함)3) 안전운전계획4) 비상조치계획 2. 안전운전절차의 포함되어야 할 내용1) 최초의 시운전2) 정상 운전3) 정상 운전정지4) 비상 시 운전5) 비상 시 운전정지6) 정비 후 운전개시7) 정상운전 범위를 벗어날 경우의 조치 절차8)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정보9) 보호구의 착용10) 화학물질 폭로 시 조치 절차11) 화학물질 누출 시 조치 절차12) 안전설비 계통 기능의 운전 방법 및 절차 3. 기타사항1) 변경관리(MOC) 진행 시 안전운전지침서에 그 내용을 적절히 반영하고, 근로자 교육 실시을 실시한다.2) 안전운전절차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변경관리를 ..

공정안전관리 2024.05.02

비파괴검사의 종류

비파괴검사 Non-Destructive Testing, NDT>1960년부터 화학플랜트, 발전플랜트 등의 발전으로 장치설비에 대한 건정성을 점검 확인하기 위하여 도입됨.검사방법기본원리검출대상 및 적용특징방사선 투과검사(RT)투과성 방사선을 시험체에 조사하였을 때 투과 방사선의 강도의 변화 즉, 건전부와 결함부의 투과선량의 차에 의한 필름상의 농도차로부터 결함을 검출용접부, 주조품 등의 대부분 재료의 내외부 결함 검출-영구적인 기록 수단-모든 종류의 재료에 적용가능-표면결함 및 내부결함 검출가능-방사선안전관리 요구초음파탐상검사(UT)초음파가 음향임피던스가 다른 경계면에서 반사, 굴절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대상의 내부에 존재하는 불연속을 탐지하는 기법용접부, 주조품, 압연품, 단조품 등의 내부 결함 검출 및 ..

공정안전관리 2024.05.01

위험물질의 종류

[안전보건규칙 별표1] 1. 인화성 액체 - 인화점이 23도 미만, 비점이 35도 이하 - 인화점이 23도 미만, 비점이 35도 초과 - 인화점이 23도 이상, 60도 이하 ※방폭지역은 인화점 60도 이하, 또는 인화점 이상으로 저장.취급 시 선정 2. 인화성 가스 3. 산화성 액체 및 고체 -산소를 다량 방출하여 주위의 연소를 확대시킨다. 4.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 -물과 반응하여 자연발화하거나 인화성 가스 방출 5.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충격, 열에 민감하고 스스로 자기반응할 수 있음 -방폭은 1종으로 관리한다. 6. 부식성 물질 -산성 질산,황산,염산 등 농도 20%이상 아세트산,불산,인산 등 농도 60%이상 -염기성 수산화칼륨,나트륨 등 농도 40%이상 ◇구분 1,2이면 피부 부..

위험물 2024.05.01

화염방지기(FLAME ARRESTOR)

1. 상압저장 용기 가. 통기관이 설치된 탱크 정압 76mmH2O / 부압 –25mmH2O 나. 질소봉입 등이 요구되는 탱크 정압 250mmH2O / 부압 –60mmH2O *보통의 상압 용기의 설계압력은 350mmH2O미만을 말한다. 2. 인화점에 따른 통기설비 강화 가. 인화점이 낮을수록 Vaporizing 현상이 발생하여 작은 점화원에도 쉽게 연소될 위험성 -. 인화점 38도 미만 : 화염방지기 설치 *화염방지기는 취급.저장하는 물질에 따라 가스그룹별 선정하여 반영 *화염방지기 인증은 한국소방기술원에서 시험 합격한 제품을 설치하여야 함. -. 인화점 38도 이상~60도 미만 : 가는 눈의 구리망(40메쉬 이상의 것) 설치 -. 인화점 이상으로 취급.저장하는 경우 화염방지기 설치 나. 화염방지기는 왜 ..

화공안전공학 2024.04.29

<환적, SWITCH LOADING>

환적, SWITCH LOADING> 환적이란? 탱크 내에 여러 가지의 물질을 번갈아가며 LOADING하여 저장.취급하는 저장 방식 2. 환적 시 위험성 가. RVP에 의한 위험성 -. 인화성 물질은 고유의 특성에 따라 증기밀도, 증기압의 차이가 있으며 환적 시 화재폭발 위헝성이 있다. 나. 왜 위험한가? -. 증기압이 높다는 의미는 그만큼 많은 증기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탱크 내부는 고농도의 증기를 형성한다. 고농도를 형성한다는 것은 폭발 상한을 초과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 RVP에 따라 고/중/저 증기압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준은 아래와 같다.구 분기 준위험성고 증기압인화점이 37.8도 이하/증기압 0.3K이상낮음중 증기압인화점이 37.8도 이하/증기압 0.3K미만높음저 증기압인화점이 37...

화공안전공학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