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

공정 흐름도

1.공정흐름도(PFD: Process Flow Diagram)공정설계기준으로 장치설비와 장치설비 간의 운전 흐름을 쉽게 표현한 도면이며 PFD에는 운전조건, 원료와 유틸리티의 투입량(물질 수지 및 에너지 수지) 및 운전 순서, 제어 설비 등을 확인 할 수 있다.2. 도면에 표기해야 할 내용1)공정운전의 순서 및 흐름 방향(순서를 숫자로 표현)2)동력 및 장치설비(주요 설비만을 표현하며 병렬로 설치된 설비는 제외)3)공정에 투입되는 물질 및 에너지 수지(온도,압력,유량,Vent Loss 포함)4)기본 제어 시스템(Basic control logic)5)장치설비 short spec.3.초기 설계단계에서는 공정안전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미흡함으로 상세 설계단계에서 추가로 검토가 되어야 한다.

공정안전관리 2024.09.19

암모니아(NH3) 저장에 대한 위험성

1.암모니아(NH3)암모니아는 독성가스이면서 인화성 가스로서 누출 시 독성의 영향과 동시에 화재 폭발 위험성이 있다.2.물질 위험성가.물리 화학적 특성-인화점 132℃-발화점 651℃-폭발범위 15%~33.6%-증기밀도 0.6나.반응성-할로겐 화합물 및 강산성 물질과 접촉 시 반응다.피부 접촉 시 부식성이 매우 강함다.독성-급성독성물질(흡입,가스)-허용농도(ppm): STEL값 35, TWA값 25, ERPG-2값 150, PAC-2값 1603.저장 시 잠재 위험성가.화재폭발위험암모니아는 가스상으로서 고압으로 저장되어 있어 용기 또는 밸브, 배관의 LEAK에 의하여 밀폐증기운폭발(Vapor Cloud Explosion,VCE) 발생할 수 있다.밀폐된 공간에서의 폭발은 개방증기운폭발(Unconfined V..

파괴핀 장치 설치 (Buckling pin)

1. 적용 범위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되는 좌굴형 압력방출장치로서 설정압력 이 게이지 압력으로 0.1 ㎫ 이상인 경우 적용함.2. 용어의 정의가.파괴핀장치 (Buckling pin)압력을 받는 구조재의 하중을 전달하는 부품인 핀이 파괴되면 흡입정압으로 작동되는 비복구형 압력방출장치나.파괴핀파괴핀장치에서 힘을 받아 작동되는 구성품으로서, 그 단면적은 원형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다.파괴핀 본체 (Breaking pin housing)압력유지부재를 둘러싸는 구조 물이다. 하우징 재료는 이 규격에서 사용이 KS규격에서 허용된 재료 및 ASME Section Ⅱ 등에서 나열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3.파괴핀 구조가.파괴핀은 설정된 압력에 따라 하중 지지부가 작동함으로써 밸브가 열리며 되닫힘이 없는 압력배..

화공안전공학 2024.08.14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 설치

1. 안전밸브와 파열판압력용기 등으로부터 과압이 형성될 경우, 용기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2. 압력용기와 안전밸브 사이에 파열판 설치가. 안전밸브 전단에 파열판 설치 고려1) 반응 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 우려가 있는 경우2) 급성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3) 운전 중 안전밸브에 이상 물질이 누적되어 안전밸브가 작동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경우나. 안전조치1)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할 때 그 사이에는 압력지시계, 시험용 콕크, 자 동경보장치 등을 설치하여 파열판의 파손 또는 누출을 감지2)파열판이 누설되어 파열판과 안전밸브 사이에 배압이 형성되면 파열판의 파열압력은 배압만큼 상승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배압이 형성되면 즉시 교체3)파열판 안전..

화공안전공학 2024.08.05

위험물의 종류 및 특성

1. 정의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갖는 화재 및 폭발(분해폭발,자기반응폭발)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물질들을 말하며, 제조소등에서는 사고예방을 위하여 위험물 성상에 적합한 관리 및 소화설비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2. 위험물의 종류유 별성 질특 성*소화 방법(가능)제1류산화성 고체산화력이 매우 강한 물질로서 불연성이지만 화재 발생 시 주변 화재 시 연소를 돕는 위험물*주수 소화(포+주수)제2류인화성 고체화염에 의한 발화 또는 인화되는 위험물*포+주수 소화제3류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고체 또는 액체로서 공기 중에서 발화의 위험성이 있거나 물과 접촉하여 발화하거나 가연성가스를 발생하는 위험물*금속분말소화Dry Powder제4류인화성 액체화염에 의한 발화 또는 인화되는 위험물 ※기계,전기적 Spark(..

위험물 2024.07.21

사업장 위험성평가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1. 개요사업주가 사업장의 유해 위험.요인을 스스로 파악.평가하고 그 요인을 개선.관리하여 산업재해를 에방하기 위함.2. 위험성평가 절차1) 사전 준비2) 유해.위험요인 파악3) 위험성 결정4) 개선계획수립 및 개선조치5) 이행사항 모니터링 및 결과 기록. 관리3. 위험성평가 시기1) 최초평가-사업이 성립된 날로부터 1개월 이내 위험성평가 착수 실시2) 정기평가-최초 위험성평가 및 수시평가 결과의 적합성을 1년마다 재검토를 실시하고 부적합 사항 즉시 재평가를 실시하여 개선 실시3) 수시평가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유해·위험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 전 수시평가를 실시-건설물의 철거,이전,변경,해체 시-작업방법 및 작업절차의 신규 도입 또는 변경..

법규 2024.07.21

금속화재 소화약제

1. 개요 금속 화재 발생 시 주수소화 및 일반 분말소화약제 사용 시 초기 화재진압에 한계가 있으며 2차 화재,폭발에 대한 위험성이 상존한다. 금속 화재는 일반화재 및 유류화재와는 달리 특수한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적절히 소화하여 진압을 실시하여야 한다. ※약제(Dry Powder)는 내열성이 강하며, 팽창효과로 금속표면을 덮어 산소를 차단하고 질식 및 냉각 소화의 효과가 있어야 함. 2. 금수성 물질 가. 금수성 물질은 마그네슘, 리튬, 나트륨, 칼륨 등 금속류에 해당하며 물(수분)과 접촉 시 자연발화하면서 인화성가스인 수소를 발생시킨다. 나. 이러한 위험성으로 금수성 물질은 밀폐된 용기 내 보호액 또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취급, 저장하여야 한다. 3. D급 금속화재용 소화약제의 종류 D급화재용 소화기 및..

위험물 2024.07.20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 대상

1. 개요2021년 4월 1일부터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치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고 화학사고 발생 시 사업장 및 인근 주민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시행한 제도 2. 제출 대상기. 신규 제출(설치검사 개시일 60일 이전 제출)1)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운영하고자 하는 신규 사업장으로 최대보유량 산정에 따라 1군 또는 2군에 해당되는 사업장(규칙 별표4 비고 제2호) 2)유해화학물질 규정수량 미만으로 시설을 운영하여 작성면제를 받은 사업장이 유해화학물질의 최대 보유량이 어느 하나라도 규정수량*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규칙 제19조2항, 작성규정 제7조)*규칙 별표 3의2 또는 환경부 고시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규..

법규 2024.07.19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1. 공정안전관리 제도장치산업 발전으로 고위험의 장치, 다양한 화학물질을 취급함에 따라 화학사고의 위험성이 증가되어 화재/폭발/누출 등 중대한 산업재해 방지를 위한 목적 2. 공정안전관리(PSM/SMS) 시행가.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ㆍ제출)  : 1996년 1월 시행나.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13조의2(안전성 평가 등) : 1995년 11월 시행 3.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가. 7대 업종 대상 사업장1) 원유 정제처리업2) 기타 석유 정제물 재처리업3) 화약 및 불꽃 제품 제조업4) 농약 제조업5) 석유화학계 기초화합물 제조업,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제조업6) 질소, 인산 및 칼리질 비료 제조업7) 복합비료 제조업 나. 시행령 별표13에서 정하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저..

공정안전관리 2024.07.14

Flashing Liquid

1.Flashing Liquid란?-일정온도, 압력에서 이송 중 압력이 감소될 때 Vapor pressure 1bar 이상으로 급격히 증기화되는 물질 2. flashing liquid 운전 검토1)물질의 손실 방지-탱크 저장 시 Breathing Loss를 방지하기 위해 물질의 온도 유지와 질소 봉입 검토(압력탱크)2)펌프 선정- Flashing Liquid 특성 상 vaporizing가 쉽게 되고 air pocket가 발생하여 pump의 cavitation 현상이 있으므로 펌프 선정 시 중요한 요소이다.- vaporizing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공정 line상 pressure control valve를 설치하여 circulation 유지 운영 검토3)공정 운전- Flashing Liquid 이송 시 일..

위험물 2024.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