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lashing Liquid란?
-일정온도, 압력에서 이송 중 압력이 감소될 때 Vapor pressure 1bar 이상으로 급격히 증기화되는 물질
2. flashing liquid 운전 검토
1)물질의 손실 방지
-탱크 저장 시 Breathing Loss를 방지하기 위해 물질의 온도 유지와 질소 봉입 검토(압력탱크)
2)펌프 선정
- Flashing Liquid 특성 상 vaporizing가 쉽게 되고 air pocket가 발생하여 pump의 cavitation 현상이 있으므로 펌프 선정 시 중요한 요소이다.
- vaporizing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공정 line상 pressure control valve를 설치하여 circulation 유지 운영 검토
3)공정 운전
- Flashing Liquid 이송 시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이송
- vaporizing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공정 line상 pressure control valve를 설치 운영 검토
3. flashing liquid 취급, 저장
-Flashing Liquid 취급, 저장 시 비점 또한 영향이 있어 압력 및 온도 변화의 관찰이 필요하며, 이상감지를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압력계와 온도계를 설치하여 운전조건 이탈 시 감지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위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의 종류 및 특성 (0) | 2024.07.21 |
---|---|
금속화재 소화약제 (0) | 2024.07.20 |
NFPA CODE에 따른 유해위험성 구분 (0) | 2024.06.09 |
연소의 종류 (0) | 2024.05.06 |
위험물질의 종류 (0)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