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압저장 용기
가. 통기관이 설치된 탱크
정압 76mmH2O / 부압 –25mmH2O
나. 질소봉입 등이 요구되는 탱크
정압 250mmH2O / 부압 –60mmH2O
*보통의 상압 용기의 설계압력은 350mmH2O미만을 말한다.
2. 인화점에 따른 통기설비 강화
가. 인화점이 낮을수록 Vaporizing 현상이 발생하여 작은 점화원에도 쉽게 연소될 위험성
-. 인화점 38도 미만 : 화염방지기 설치
*화염방지기는 취급.저장하는 물질에 따라 가스그룹별 선정하여 반영
*화염방지기 인증은 한국소방기술원에서 시험 합격한 제품을 설치하여야 함.
-. 인화점 38도 이상~60도 미만 : 가는 눈의 구리망(40메쉬 이상의 것) 설치
-. 인화점 이상으로 취급.저장하는 경우 화염방지기 설치

나. 화염방지기는 왜 설치하여야 하는가?
-. 앞서 언급하였듯이 화염방지기는 인화점이 낮은 물질을 대상으로 설치한다.
장치 및 배관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은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되며, 그 결과 연결된 장치 및 배관의 폭발로 이어져 2차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 금속으로 구성된 소염소자는 화염이 통과하는 순간 발화온도 이하로 열을 빼앗아 화염이 소염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다. 화염방지기의 설치는 항상 안전할까?
-. 물질은 저마다 특성이 있으므로 항상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예로 모노머는 자연중합을 예방하고자 중합금지제를 10~20ppm정도를 유지하며 시간경과에 따라 중합금지제가 소모되고 활성반응을 하여 증기 등은 고화되기 시작한다.
이 현상은 통기관 및 화염방지기, 브리더밸브 등 관련 부속설비의 막힘현상을 초래하고 탱크의 보호를 방해하며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커지므로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한 사항이다.
'화공안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설비의 불활성가스 치환 (0) | 2024.07.02 |
---|---|
최악 및 대안의 시나리오-끝점 농도 선정 기준 (0) | 2024.06.30 |
<환적, SWITCH LOADING> (0) | 2024.04.29 |
각 법령별 안전거리 요구사항 (0) | 2024.04.28 |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0)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