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의 정의】
1. “끝점”이란 주어진 끝점농도, 과압 또는 복사열등의 수치에 도달하는 지점을 말한다.
2.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는 누출,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킨 지점으로부터 끝점의 거리가 가장 먼 가상사고를 말한다.
3.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는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 이외에 사업장에서 현실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사고 시나리오 중 영향범위가 최대인 시나리오를 말한다.
【끝점 농도 선정 기준】
1. 사업장 밖에서의 사고 시나리오 분석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끝점을 결정한다.
(1)독성물질:규정된 끝점농도(㎎/ℓ 또는 ppm)에 도달하는 지점
(2)인화성 액체 및 가스
-.폭발:0.07kgf/㎠의 과압이 걸리는 지점
-.화재:40초 동안 5㎾/㎡의 복사열에 노출되는 지점
-.누출:폭발하한계 농도의 100% 지점
2. 독성물질의 끝점농도의 적용 우선순위
(1)미국산업위생학회(AIHA)에서 발표한 ERPG2(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2)
(2)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발표한 AEGL2(1시간)(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 2)
(3)미국 에너지부(DOE)에서 발표한 PAC2(Protective action criteria 2)
(4)미국직업안전보건청(NIOSH)에서 발표한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수치 10%
(5)IDLH수치가 없는 물질은 다음의 순서대로 IDLH 수치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0.1 × LC50 또는 0.2 × LC50
*30분 노출에 대한 값의 경우 0.1, 4시간 노출에 대한 값의 경우 0.2적용
㉡ 1 × LCLo
㉢ 0.01 × LD50(경구)
㉣0.1 × LCLo(경구)
※끝점농도의 ppm은 25℃에서의 수치이며 끝점거리 계산 시에는 대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ppm의 수치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사용한다.
'화공안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밸브 설치 의무 화학설비 (0) | 2024.07.03 |
---|---|
화학설비의 불활성가스 치환 (0) | 2024.07.02 |
화염방지기(FLAME ARRESTOR) (0) | 2024.04.29 |
<환적, SWITCH LOADING> (0) | 2024.04.29 |
각 법령별 안전거리 요구사항 (0)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