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물질안전보건자료는 총16가지로 구성된 물질에 대한 유해성, 위험성을 제공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서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의 안전장치, 근로자가 취급 시 안전조치 사항에 활용되고 있다.
2. 검토 범위
가. 공정 및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인화점,발화점,폭발범위,독성,부식성 등)
-공정운전조건
-장치설비의 구성 조건
-안전장치의 설치사항
-물리화학적 반응
-취급 시의 안전조치(화재/폭발/근로자 건강장해예방)
나. 화학물질 및 부속설비의 재질
-금속 부식성일 경우, 재질 검토
다.폭발위험지역의 구분
-인화점 60℃이하, 인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취급, 저장할 경우
-5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가연성 분진을 취급, 저장할 경우
-방폭등급에 따른 전기기계기구 설치
-KS C IEC-60079-10-1(폭발성 가스 분위기) 및 KS C IEC-60079-10-2(폭발성 분진 분위기)
라.저장탱크의 구조
-인화점에 따른 화염방지기 설치
-증기압에 따른 통기밸브 설치
-불활성가스 Inert 결정
-보온/보냉 설치
-온도계, 액위계
-안전밸브, 파열판 등 비상배출장치
마. 비상조치계획 수립
-화재/폭발/누출 시 비상대응체계 구축
-주민홍보계획
-최악/대안의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
3. 공정안전관리(PSM)
공정안전관리제도에서는 화학공장에서 취급하는 물질의 유해.위험성을 사전 파악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안전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유해위험물질 목록을 관리한다.
'산업안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IL SAFE, FOOL PROOF (0) | 2024.05.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