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Run away 발생 가능한 운전 방식
-Heating과 Cooling으로 열 제어
2. 증류ㆍ정류ㆍ증발ㆍ추출 등 화학물질을 분리를 하는 장치
-Heating 또는 Vacuum 운전 및 비점 제어를 통한 화학물질 분리
-물질의 수용성, 비수용성 성질에 따라 향류접촉식으로 화학물질을 추출 운전 채택
3. 가열시켜 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Temperature Control Unit 운전 시 사용되는 열매체유
4. 반응폭주 등 이상 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1번항과 유사한 장치설비
5. 온도가 섭씨 350도 이상이거나 게이지 압력이 980킬로 파스칼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6. 가열로 또는 가열기
※특수화학설비는 계측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상황을 항시 모니터링 하여야한다.
(압력계,유량계,액위계,온도계 등)
'화공안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괴핀 장치 설치 (Buckling pin) (0) | 2024.08.14 |
---|---|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 설치 (1) | 2024.08.05 |
안전밸브 설치 의무 화학설비 (0) | 2024.07.03 |
화학설비의 불활성가스 치환 (0) | 2024.07.02 |
최악 및 대안의 시나리오-끝점 농도 선정 기준 (0)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