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분진폭발위험장소

JB SAFETY MANAGEMENT 2024. 4. 28. 13:27

<KS C IEC60079-10-2 폭발성 분위기 — 제10-2부: 장소 구분 — 폭발성 분진 분위기>

분진폭발 발생 시 1차 분진층이 폭발을 일으켜 분진운이 형성되며 점화에너지에 의하여 분진운이 2차 폭발로 이어지는데 1차 폭발보다 더 큰 파괴력을 발생시켜 큰 피해가 발생한다.

 

1. 용어의 정의

가. 가연성 분진 : 공칭크기 500마이크로미터 미하인 고체 입자이며, 대기압/상온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폭발할 수 있는 분진을 말함.

     -. 가연성 부유물은 500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섬유를 포함한 고체 입자

       (도전성 분진은 그룹 IIIA로 분류)

나. 도전성 분진 : 전기 고유저항이 1k옴.m이하인 가연성 분진

                           (도전성 분진은 그룹 IIIC로 분류)

다. 비도전성 분진 : 전기 고유저항이 1k옴.m이하인 가연성 분진

                           (도전성 분진은 그룹 IIIB로 분류)

라. 폭발 한계 : 하한 20~60g/㎥이하, 상한 2,000~6,000g/㎥이하

 

2. 누출 등급

가. 누출 등급은 가스폭발위험장소 구분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나. 연속/1차/2차 누출등급으로 분류

3. 폭발위험장소의 종별

가. 20/21/22종으로 분류

나. 21종의 경우, 누출원으로부터 1미터 범위

다. 22종의 경우, 누출원으로부터 3미터 범위

 

4. 종별 장소가 될 수 있는 위치

가. 20종

   -. 분진의 내부 수용부(호퍼, 사일로, 사이클론, 필터, 이송시스템 등)

나. 21종

   -. 운전의 목적상 자주 열어야하는 문/맨홀 근처

다. 22종

   -. 분진이 새어나올 수 있는 예상 지점

 

5. 분진의 고려 인자

가. 분진층 및 분진운의 발화온도

나. 최소 점화에너지

다. 분진의 농도

라. 폭발 한계

마. 수분 함량

바. 분진 그룹

사. 입자 크기

 

6. 가연성 분진의 화재.폭발 안전조치

가. 분진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청소(바닥, 설치)

나. 분진의 특성을 파악하여 방폭형 전기기구를 설치

다.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국소배기장치의 설치 및 성능 체크